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97

[되새과]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되새는 전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새이다. 난 오늘에서야 봤다. 수십 마리에서 수백 마리씩 무리지어 나뭇가지에 앉아 있다가 일제히 땅에 내려앉아 먹이를 찾는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이며 한배에 6~7개의 알을 낳는다. 여름에는 주로 곤충을 잡아먹고 겨울에는 나무열매나 풀씨 다위를 먹는다. - 2016년 11월 9일 창녕군 유어면 우포늪에서...

자연생태/새 2016.11.09

[꿀풀과]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Maek.)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바로 서서 어른 무릎 높이 이하로 자란다. 단면이 네모지며, 두 줄로 난 굽은 털이 있다. 자색을 띠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식물체에서 향기가 난다.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잔뿌리가 많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모양이다.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둔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꽃은 9~10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통통한 이삭 모양으로 한쪽으로 치우쳐 빼곡하게 달린다. 수술 4개 가운데 2개가 많이 길어서 꽃잎 밖으로 드러난다. 향유는 한 달 빠른 8~9월에 꽃이 피고, 비교적 옅은 자색이며, 꽃차례(가지에 붙어있는 꽃의 배열상태)가 긴 편이다. 향유는 들판에 주로 분포하지만, 꽃향유는 산비탈에 치우쳐서 분포한다. 엘숄치아. 향유 꽃의 아름다움을..

자연생태/식물 2016.11.03

연가시

철선충류(연가시)는 유선형동물문 연가시강에 속하는 기생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실뱀 혹은 철선충,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Gordian worm 또는 Horsehair worm 이라고 불리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약 326종이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9종이 보고되어 있다. 연가시강에는 흑연가시목과 연가시목으로 구분되고, 흑연가시목은 4과 13속, 연가시목은 1과 2속으로 구분된다. 자웅이체로 유성생식을 한다. 교미는 수중에서 이루어지며, 수십만에서 수천만개의 알을 낳고, 약 2~4주 후 유충이 된다. 유충은 수중에서 모기 유충 등에 포낭 형태로 감염된 후 성충이 된 모기가 지상으로 이동하였을 때 사마귀 등의 숙주가 모기를 잡아먹으면..

자연생태/기타 2016.10.07

[저어새과] 따오기(Crested Ibis)

천연기념을 198호.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따오기. 우리나라에서 사라진 새. 따오기 복원센터에서 다시 살리고 있다. 2008년 1쌍을 데리고 오고, 2013년 수컷 2마리를 더 얻어왔다고 한다. 지금은 개체수가 171마리. 내년 10월 계획은 20마리 자연 방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생긴 따오기는 중국, 우리나라, 일본 밖에 없는데. 우리나라, 일본은 멸종. 중국에만 야생에 있었는데 그 녀석을 잡아다 번식시키고 있다. 이렇게 보호하지 않고는 멸종이 바로 코앞에 있는 새. - 2016년 10월 4일 창녕군 유어면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자연생태/새 2016.10.05

[백로과] 해오라기

해오라기 어린새이다. 코와 774 스코프에 갤럭시 s4 휴대폰으로 찍은 사진이다. 우리나라에서 해오라기는 여름철새이고 먹이는 물고기, 양서류, 파충류, 곤충 이다. 해오라기 암수 구분은 어렵다. 해오라기 이름 유래는 이주희 작의 내 이름은 왜? 라는 책에 나온다. 길게 설명되어 있지만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올히>올이>오리, 해오리>해오라기=해+올+아기(또는 -아비), 태양=해, 해+-다=희다해오라기=흰오리 같은 새/백로=흰 해오라기 백로, 왜가리, 해오라기의 어원에 대한 분석을 해 놓았다. 해오라기는 흰 오리 같은 새 라는 뜻이라고 분석을 해놓았다. 농경 위주의 사회에서 여름이 되면 지금의 백로(황,쇠,중,중대,대) 들이 논과 하천 등에 많이 날아왔을 것이고 이 백로들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었을까 싶다...

자연생태/새 2016.09.28

[국화과] 단양쑥부쟁이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단양쑥부쟁이는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이다. 우리나라 특산 변종으로 1937년 충주 수안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과거에는 단양에서 충주에 이르는 지역에 널리 분포하였으나, 현재는 경기도 여주 남한강변 일대에만 확인되었다. 최근 단양군 가곡면 서식지가 홍수에 의해 파괴되어 사라졌다. 충북 단양과 경기 여주 일대에서만 분포하며 전체 개채수는 2000여 개체로 추정된다. 강변에 생육하기 때문에 홍수 등의 피해에 직면해 있으며, 개체군 변동이 심하다. 최근 4대강 사업으로 많은 개체들이 사라졌다. -2016년 9월 26일 창녕군 유어면 우포생태교육원에서...

자연생태/식물 2016.09.26

[미나리과] 고본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 깊은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에는 잎집이 있다. 8~9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큰꽃자루는 10개 정도이며 작은꽃자루는 20~22개이다. 한방에서 가을에 뿌리는 캐서 말린 것을 고본이라 하며 두통, 관절통, 치통, 복통, 설사, 습지 등에 처방한다. 한국에 널리 분포한다. - 2016년 창녕군 유어면 우포생태교육원에서...

자연생태/식물 2016.09.22

[돌나물과] 큰꿩의비름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 풀. 산과 들에서 자라고, 굵은 뿌리에서 줄기가 몇개 나온다. 줄기는 높이가 30~70cm이고 녹색을 띤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육질이며 달걀 모양.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없다. 꽃은 8~9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많은 수가 빽빽이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5개이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연한 흰색이다. 꽃잎은 5개. - 2016년 9월 22일 창녕군 유어면 우포생태교육원에서...

자연생태/식물 2016.09.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