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상/전기차(ev) 133

GS커넥트 지차저(G차저) 회원카드 수령

GS커넥트 지차저(G차저) 회원카드 수령 지차저(G차저), 지엔텔(G엔텔), 지커넥트(G커넥트) 등으로 불리는 GS커넥트의 지차저(G차저) 전기차 충전 서비스 회원카드가 왔다. 회사 이름은 GS커넥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이름은 지차저(G차저) 이다. 지차저(GS차저)는 홈페이지에서는 회원카드 신청이 안되고, 앱으로만 신청을 해야 한다. 나도 회원가입은 몇년전에 해 놓았고, 지난 8월 22일에 앱 다운받아 회원카드 신청을 했다. 8월 25일 오늘 3일만에 회원카드가 우편으로 왔다. 등기로 오기도 하던데 등기는 비싸니 우편으로 보내는 것 같다. 430원으로 서울에서 김해까지 보낼 수 있다니 대단하다. 회사 이름이 GS커넥트이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이름은 지차저. 봉투를 개봉하면 신용카드 스타일로 들어있다...

전기차 충전 할인 대표 신용카드 비교(신한 ev, 삼성 id ev)

전기차 충전 할인 대표 신용카드 비교(신한 ev, 삼성 id ev) 전기차를 구입하게 되면 충전을 어떻게 하는 거지? 하는 걱정이 생기고 알아보게 된다. 우리집 또는 직장 등 주변에 전기차 충전기가 있는지 알아보고, 무슨 회사 충전기인지 알아보고, 해당 충전사업자에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카드를 발급받게 된다. 그러다가 더 싸게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고민을 하게 된다. 충전사업자별로 충전단가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고, 전기차 충전 할인을 해주는 신용카드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전기차 충전 할인 신용카드는 보통 2가지 중에 만드는데 2017년 9월 11일에 출시된 신한ev 카드와 2021년 11월 26일 출시된 삼성 id ev 카드가 있다. 그 외 그린카드도 있는데 그린카드는 혜택이 지속적인게..

전기차 충전기 지차저(G자처) GS커넥트 회원가입, 카드발급, 충전요금

전기차 충전기 지차저(G자처) 회원가입, 카드발급, 충전요금 지차저(G자처), 지엔텔(G엔텔), 지커넥트(G커넥트) 등 부르는 이름이 너무 많은데 지엔텔(G엔텔)에서 전기차 충전사업부 지차저(G자처)를 분리했고, 2021년 GS에너지와의 합작투자로 지커넥트(G커넥트)가 설립되었다. 지금은 이름이 대기업 이름이 유리하다 생각했는지 GS커넥트로 다시 바뀌었다. 헷갈리는데 이름에는 같이 GS가 들어가지만 GS칼텍스 에서 운영하는 충전기와는 다른 회사이다.(GS 칼텍스 회원카드로는 로밍요금 적용됨) 전기차충전사업자는 정부에서 대기업 진출을 못하게 했다가 이제 허용을 해서 GS에너지에서 투자를 하는건지도 모르겠다. 지엔텔(G엔텔), 지차저(G차저)는 초창기부터 충전사업을 했었고, 상당히 저렴한 요금이었던 걸로 기..

집 220v 콘센트에 전기차 충전 가능한가요?

집 220v 콘센트에 전기차 충전 가능한가요? "집 콘센트와 연결해 충전할 수 있나?" 전기차 운행하면서 참 많이 듣는 질문이다. 전기차를 구입할 때 주거나 혹은 옵션으로 구매한 비상용 충전기가 있다면 집에 있는 220v 콘센트와 연결해 전기차 충전은 가능하다. 그런데 아파트 구조상 집에 있는 220v 콘센트와 전기차를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주택이라고 하더라도 주택용 전기요금과 전기자동차 전기요금을 생각해서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충전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2018년 니로 ev 전기차 구입 당시 옵션으로 40여만원 주고 구입한 비상용 충전기이다. 말그대로 220v에 비상으로 충전하는 선이다. 이렇게 생겼다. 한쪽은 220v 콘센트에 연결할 수 있고, 반대쪽은 DC콤보 충전 방식에서 완속충..

전기차 충전 요금 스타코프 차지콘 충전기 회원가입, 카드 발급, 충전요금

전기차 충전 요금 스타코프 차지콘 충전기 회원가입, 카드 발급, 충전요금 우리나라는 인구의 90% 이상이 공동주택에 거주하다 보니 충전소 설치와 전용주차구역 설정 등 전기차 보급에 걸림돌이 있다. 단독주택이라면 본인 집에 충전기 설치하여 본인만 충전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데 아파트에 충전기를 설치하려면 충전기 설치부터 공동의 자리에 설치하는 것이니 입대위 승인이 나야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하고 나더라도 주차 문제로 입주민간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 운행중이고, 오늘 저녁에 충전을 꼭 해야 하는데 충전기 설치된 자리에 내연기관차가 주차되어 있다면? 전화를 해서 빼달라 요구할 수 있겠지만 내연기관차주 입장에선 공동주택에서 주차할 곳이 없어 전기차 충전 자리에 주차했는데 빼달라니? 뭔 소리야?..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해피차저) 충전기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해피차저) 충전기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 제주에 본사를 둔 사명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의 충전기 보통 해피차저라 부른다. 초창기 충전사업자였는데 충전기가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다. 2022년 7월 1일자로 전기차 특례요금제 할인 종료가 되면서 사업자마다 한전에서 공급받는 전기요금이 인상되니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충전기의 충전 요금도 인상되고 있다. 해피차저 충전기 충전요금도 인상을 하고, 2022년 9월 1일부터 아래와 같은 요금으로 시행된다고 한다. 해피차저 충전기를 주로 이용한다면 참고해야 할 듯. 해피차저는 환경부 회원 카드와 해피차저 회원 요금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고, 타사업자 로밍 요금은 일괄로 1kWh 당 350원이다. 완속충전기도 주간, 야간 구분없이 1kWh 당 286...

전기차 충전 요금 차지비(ChargEv) 충전기 회원가입, 카드 발급, 충전요금

전기차 충전 요금 차지비(ChargEv) 충전기 회원가입, 카드 발급, 충전요금 차지비(ChargEv) 전기차 충전 사업자도 초창기부터 있었던 것 같다. KT에서도 KT차징메이트라는 사명으로 전기차 충전 사업을 했었는데 당시 다른 충전 사업자에 비해 KT 충전기는 충전비용이 유난히 비싸다고 비난을 많이 받았던 것 같다. 이후 KT 에서는 충전사업의 사업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했는지 사업에서 손을 떼고 2021년 경 보유중인 충전기는 모두 차지비(ChargEv)로 넘긴 것으로 안다. 생각해보면 충전사업자는 한전으로부터 전기 공급받아 소비자에게 이익을 붙여 파는 개념인데 충전기는 국가 지원이겠지만 그 후 한전에 내는 기기당 기본요금과 유지 관리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나는 이미 차지비(ChargEv) 회원카..

전기차 충전 비공용충전기(집밥) 요금 고지서 살펴보기

전기차 충전 비공용충전기(집밥) 요금 고지서 살펴보기 우리가 타는 니로ev 전기차는 2018년 8월에 출고하여 이제 벌써 4년이 넘었다. 그때 처가에서도 니로ev 전기차를 신청해 놓았었고, 차가 배정되어 10월인가? 차를 받았다. 장인어른은 시골에서 평생 농사만 지으신 분이시고, 시골 사람 특유의 근검 절약이 몸에 배이신 분이시다. 예를 들면 노끈 하나도 버리지 않고, 어디 쓰일까 창고에 모아 둘 정도. 그래서 니로ev 전기차 2년여 운행해 보시니 유지비가 엄청 세이브 됨을 몸소 느끼시고 전기 트럭인 봉고 ev 전기차도 구입을 해서 처가에는 전기차 2대 운용중이다. 단독주택이라서 충전기 중에 최고 집밥, 비공용 완속이라 불리는 비공용 충전기를 설치하여 사용중이다. 2018년 당시는 전기차를 구입하면 비공..

채비(CHAEVI) 전기차충전 회원 카드 수령

채비(CHAEVI) 전기차충전 회원 카드 수령 7월 30일에 대영 채비(CHAEVI) 홈페이지에 회원가입하고 채비(CHAEVI) 전기차 충전 회원카드 신청을 했는데 8월 4일에 등기로 받았다. 결재카드는 신한ev로 등록을 해 놓았으니 이제 채비(CHAEVI) 충전기에서 채비(CHAEVI) 회원 카드로 인증하고 충전하면 된다. 예전에 대영 채비라 불렀는데 어느새 대영이 이름에서 빠졌다. 채비(CHAEVI) 전기차 충전 회원카드. 이때까지 받았던 회원카드 중에 제일 이쁜 것 같다. 지금까지 전기차 충전 회원카드 몇 개나 발급받았는지 세어 보니 이렇게나 많이 받았다. 제일 윗쪽부터 환경부, 해피차저, 차지비 이비랑, 파워큐브, 에버온 소프베리 EV 인프라, 오늘받은 채비(CHAEVI) 까지 총 6개를 발급받았..

전기차 충전 요금 대영 채비(CHAEVI) 충전기 회원가입, 카드 발급, 충전요금

전기차 충전 요금 대영 채비(CHAEVI) 충전기 회원가입, 카드 발급, 충전요금 8월 13일부터 3일간 멀리 여행을 갈 일이 있어서 여행지에 충전기가 있는지 보고, 어느 회사의 충전기인지 확인을 했다. 숙소 근처에 대영채비 완속충전기가 있어서 대영채비 충전기 요금을 알아보고, 회원가입 하고, 카드 발급 받았다. 전기차 충전요금은 회사마다 다르고, 가격 변동도 있으니 본인이 잘 확인하여 이왕이면 가장 저렴하게 충전해야 한다. 1. 보통은 충전업체에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카드를 발급받는다. 2. 충전업체에 결재할 신용카드를 등록한다.(충전요금 할인 카드 신한ev, 삼성idev) 3. 충전기에서 그 회사의 회원카드로 인증하고 충전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가장 저렴한 방법이다. 그러다 보니 회사마다 회원카드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