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꿀벌 이야기

겨울 딸기하우스 화분 매개용 꿀벌 관리

☞하쿠나마타타 2024. 11. 10. 02:54

겨울 딸기하우스 화분 매개용 꿀벌 관리

 

겨울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딸기의 화분 매개용 꿀벌이 없으면 딸기를 생산할 수 없다.

딸기 화분 매개에 사용되는 꿀벌은 꿀을 생산하는 꿀벌과 달리 월동시키지 않고 별도로 관리해 생산한다.

딸기 농가에 공급된 꿀벌은 5개월 이상 비닐 온실에 사용된다.

10월 중순 이후 1화방(첫 번째 피는 딸기꽃)의 딸기꽃이 10% 이상 피었을 때 표준규격의 딸기 화분 매개용 꿀벌 벌무리를 투입한다.

이때 꿀벌은 온실 660제곱미터 당 7,500~1만 마리가 좋다.

벌통 내 먹이는 충분히 있어야 하며, 여왕벌이 비닐온실에 적응해 알을 낳을 수 있도록 반드시 대용화분을 넣어준다.

벌통 내부 온도는 방한재를 넣어 30도를 유지한다.

꿀벌응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의 활동을 정기적으로 관찰한다.

일주일에 3회는 벌 활동량을 조사하고 660제곱미터 비닐온실당 꿀벌의 수가 12마리 이하면 반드시 벌 상태를 확인한다.

꿀벌 세력이 약해지면 납품받은 양봉농가의 도움을 받아 벌세력을 키우거나 벌무리를 교체한다.

농약을 뿌릴 때는 전날 저녁 벌통을 비닐온실 외부로 옮기고 살포 1~2일 후 원래 있던 자리에 벌통을 설치한다. 

벌통을 옮겨 사용하는 것은 일벌 유실이 커 벌무리 수명을 줄이므로 피한다.

화분 매개용으로 사용한 벌통은 꿀벌 감염병을 방지하기 위해 꿀 생산용으로 다시 사용하면 안 되며, 소각해 처리한다.

1. 딸기 화분 매개용 꿀벌의 표준규격

- 벌의 수 : 온실당 7,500~1만 마리 벌(소비 3~4매)

- 먹이 : 대용화분, 저밀판

- 벌의 구성 : 산란이 멈춘 여왕벌, 일벌은 어린 벌을 양성

- 기타구성 : 사양기, 보온재 등

2. 비닐온실에서 꿀벌의 설치 방법

- 벌통 설치 : 입구에서 20미터 지점, 벌통의 방향과 관계없이 설치, 곁창 주변 피할 것

- 하우스 방향별 설치 방법

  · 동서방향 : 일사량이 많아 화분 매개 활동에 효율적

  · 남북방향 : 일사량이 적어 벌통 보온, 강한 세력의 벌 투입

- 난방기, 탄산가스 발생기가 있으면 기기에서 먼 곳에 설치

3. 꿀벌의 관리 방법

- 대용화분 공급 : 벌통 설치 후 60일 내 1차 추가공급, 150일 내 2차 추가공급

- 당액 : 벌통 설치 후 120일 내 점검하여 공급

- 보온 : 한파 시기인 12월 말부터 2월 초까지 보온 필요

  · 일반 벌통 : 보온재 사용

  · 스티로폼 벌통 : 보온재 및 담요 등으로 벌통을 감싸줌

4. 농약 살포 시 주의사항

- 벌통 이동 : 농약 살포 전날 저녁에 벌들이 다 집으로 들어오면 벌통 출입문을 닫고 비닐온실 외부 창고나 바깥으로 벌통을 이동 → 다음 날 아침 농약 살포 후 1~2일 방치 → 벌통 재투입 전 옆 창을 열어 충분히 환기한 후 설치했던 그 자리에 벌통 이동

- 벌통 덮기 : 농약 살포 전날 저녁에 벌들이 다 집으로 들어오면 벌통 출입문을 닫고 검정색 두꺼운 비닐이나 두꺼운 종이상자로 벌통을 덮음 → 다음 날 아침 농약 살포 → 다음날 오전 옆 창을 열어 충분히 환기한 후 덮었던 비닐이나 상자를 걷어낸 후 벌통 출입문을 열어줌

5. 화분 매개용 꿀벌 사용 완료 후 재사용 금지

- 사용이 끝난 화분 매개용 꿀벌은 벌통 내부에 벌이 없거나 벌이 들어 있더라도 꿀벌의 감염병 방지를 위해 반드시 소각 폐기

(월간양봉 Vol.529)

- 2024년 11월 10일 김해시 삼계동 삼계한라비발디센텀시티에서...

2023.11.05 - [자연생태/꿀벌 이야기] - 겨울철의 꿀벌 관리

반응형

'자연생태 > 꿀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꿀벌(양봉) 관리  (0) 2024.12.28
2월 봉군 관리  (0) 2024.02.11
양봉 월동 포장  (0) 2023.12.26
겨울철의 꿀벌 관리  (0) 2023.11.05
꿀벌육아의 생리조건 및 꿀벌육아의 3요소  (0) 202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