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상 495

전기차 충전 사업자 클린일렉스 케이차저(K CHARGER) 충전 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 사업자 클린일렉스 케이차저(K CHARGER) 충전 요금 인상 한국전력의 전기 요금 인상에 따라 전기차 충전 사업자도 충전 요금을 인상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전력에서 계시(계절/시간대) 를 조정하면서 계시별 요금제를 운영하는 충전 사업자도 계시를 조정하고 있다. 계시는 오전 8~9시 시간대가 경부하가 아니니 경부하 예약충전은 8시까지. 클린일렉스 케이차처(K CHARGER) 도 계시별 요금제를 시행하고 있어 아래와 같이 계시를 조정하였고, 충전요금도 인상되었다. 오전 8시~9시 시간대는 이제 경부하 시간대가 아니다. 클린일렉스 케이차저(K CHARGER) 충전 요금은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이전에 비해 요금이 그대로 유지된 구간도 있고, 약간 인상된 구간도 있어 비교가 필요하다. - 2023..

베트남 다낭 오행산 갔다가 어른의 서유기 읽게 된 사연

베트남 다낭 오행산 갔다가 어른의 서유기 읽게 된 사연 다낭에서 핑크성당(다낭대성당) 앞 버스정류장에서 오행산 가는 버스를 기다리다 탔는데 아무도 없었고, 우리 가족과 같이 타신 한국 노신사께서 어디가냐고 물어 오행산 간다 하니, 손오공과도 관련된 곳이고, 잘 다녀오세요. 안타깝게도 손오공하면 생각나는 것은 치키치키차카차카초코초코 밖에 없다. 한국에 와서 먼저 할 일들 정리하고, 일상으로 돌아올즈음 화정글샘도서관가서 어른의 서유기라는 책을 빌려서 읽었다. 그래서 베트남 다낭의 그 오행산이 손오공이 500년간 갇혀있던 산이 맞는가? 읽고 나니 맞아도 좋고, 아니어도 별 문제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책에서 답은 찾지 못했다.) 서유기 중요(핵심) 내용을 신파조로 읽어내려가면 그 뒤에 해설을 해주는데 딱딱한 ..

일상/오만때만 2023.01.28

전기차 충전 할인 카드 신한ev 카드 제휴사업자 추가

전기차 충전 할인 카드 신한ev 카드 제휴사업자 추가 전기차 충전 사업자가 워낙 많이 생겨나고 있으니 신용카드사에서 충전 사업자로 또는 충전 사업자에서 신용카드사로 서로 윈윈을 위해서 카드 할인 제휴를 맺자고 연락을 할 것 같다. 초창기 전기차 시절부터 대표적인 전기차 할인 카드인 신한ev 카드도 아래와 같이 3개의 새로운 전기차 충전 사업자가 추가되었다. 내연기관차처럼 리터당 몇십원 할인 정도가 아니라 전기차 충전 할인 카드인 신한ev 신용카드는 30만원 이상만 쓰면 충전 금액의 30% 할인이다.(60만원 이상은 50%) 무한정 할인이 아니라 할인 한도는 2만원. 기존 2023년 1월 27일 현재 환경부,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차충전, 차지비, 파워큐브, 에스트래픽, 휴맥스, 대영채..

전기차 충전 사업자 채비(CHAEVI) 패스 구독 요금제

전기차 충전 사업자 채비(CHAEVI) 패스 구독 요금제 구독과 공유가 지금 현재 그리고 앞으로 기업의 새로운 가치 창출 형태가 되고 있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한꺼번에 목돈 들이지 않고, 매달 일정 금액을 지불하며 제공받는 식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제품의 일시적 판매가 아니라 서비스를 통해 반복적 매출이 발생하게 된다. 구독 이전의 생태계에서는 고객이 일시적 구매자였는데 구독 경제에서는 지속적 구독자로 변환한다. IT 기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구독 경제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다. 스트리밍 콘텐츠, 쇼핑, 포털 등으로 계속해서 구독경제는 확장되고 있다. 소비자입장에서는 실리를 잘 따져서 구독 경제를 이용해야겠다. 전기차 충전 요금제도 구독 요금제가 등장하고 있다. 에스에스차저(SS Charger)의 ..

전기차 충전 사업자 채비(CHAEVI) 전기차 충전 요금 및 이벤트

전기차 충전 사업자 채비(CHAEVI) 전기차 충전 요금 및 이벤트 채비(CHAEVI) 전기차 충전 요금은 지난해 11월 1일부터 한국전력의 전기차 충전요금 특례 할인 종료가 반영되어 다른 업체보다 조금 늦게 인상되었다. 11월 1일에 인상된 요금이 아래와 같다. A사 : 제주에너지공사 B사 : GS칼텍스, SK에너지 C사 : 휴맥스이브이 D사 : 지에스커넥트 E사 : 매니지온, 투이스이브이씨, 스타코프, 씨어스, 엘지헬로비전,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차지비, 클린일렉스, 타디스테크놀로지,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F사 : 에버온, 파워큐브코리아 G사 : 에스트래픽 A~G사까지 구분하여 로밍을 지원하고 있는데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 할 수 없이 로밍을 하는거지 전기차 충전을 저렴하게 하는 방..

전기차 충전 사업자 한국전력(한전) 아파트용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 사업자 한국전력(한전) 아파트용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 사업 초창기 부터 한국전력(한전)에서도 전기차 충전 사업을 했다. 예전에 살던 아파트에도 2018년쯤 60kWh급 급속 1대와 완속 1대를 설치했었는데 한국전력(한전) 기기를 설치했었고, 한국전력 전기차 충전 요금제를 따랐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에 전기차 충전 사업자가 엄청나게 많아졌고, 한국전력(한전)에서도 굳이 전기차 충전 사업의 필요성이 없어졌는지 신규설치되는 한국전력(한전) 전기차 충전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어졌다.(충전 단가가 엄청 비쌈) 기존 설치되어 있던 한국전력(한전) 전기차 충전기는 유지, 관리해야 하는데 앞으로 다른 업체에 다 넘길까? 가장 최근 2022년 9월 1일자로 한국전력(한전) 전기차 충전기 ..

전기차 충전 사업자 파워큐브 이동형충전기 충전 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 사업자 파워큐브 이동형충전기 충전 요금 인상 아파트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면 안그래도 주차 자리도 없는데 전기차 충전기가 자리 차지해서 내연기관차는 주차도 못하게 하네. 아파트 주차 자릿수의 3% 나 설치해야 돼? 우리아파트는 설치할 자리도 없어. 이런 고민을 날려준게 파워큐브의 이동형충전기이다. 지금은 다른 많은 회사에서도 비슷 또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하고 있다.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220v 콘센트만 있다면 파워큐브사와 아파트 입대위, 관리소 협조하에 파워큐브사의 태그설치와 전기공사를 하고, 이용자는 파워큐브사의 이동형충전기를 구입하여 태그설치된 220v 콘센트에 충전을 하면 이용자에게 전기차 충전요금이 과금되는 방식이다. 단점은 통신상태에 따라서 충전이 끊기는 현상과(지금은 나아졌을려..

전기차 충전 사업자 파워큐브 공용충전기 충전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 사업자 파워큐브 공용충전기 충전요금 인상 우리 아파트에 설치되어 있어 내가 주로 이용하는 파워큐브 공용충전기(아파트 내 충전기는 부분공용충전기이다.) 충전요금 인상소식이다. 한국전력에서 전기세를 올리니 충전사업자의 이윤이 줄어든다. 그러니 그 부분을 충전기 이용자에게 넘길 수 밖에 없다. 그래도 kWh 당 단가가 20원 올려서 218원이라서 내연기관차에 비하면 아주 경제적이다. kWh당 단가가 500원 넘어가는 시점부터는 신차 구매자들의 전기차 구입비율은 지금보다 아주 떨어질 것이다. 파워큐브코리아의 충전서비스를 아껴주시고 이용해주시는 고객여러분께 늘 감사드립니다. 고객여러분께서 아시는 바와같이, 2023년 1월 1일부터 한국전력의 전기차 충전요금이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파워큐브코..

전기차 충전 사업자 에버온 전기차 충전 서비스 회원 요금 변경, 계시별 요금제 시간대 기준 변경

전기차 충전 사업자 에버온 전기차 충전 서비스 회원 요금 변경, 계시별 요금제 시간대 기준 변경 한국전력에서 전기 요금을 올리니 각 충전사업자에서도 땅파서 장사하지 않는 이상 충전 요금 인상은 정해져 있는 것이다. 한국전력에서 충전사업자에 전기를 제공할 때 단가가 비공용 충전기 요금으로 제공되는지 좀 궁금하긴 하다. 기름값은 국제유가에 따라 올랐다 내렸다 변동폭이 있지만 전기세는 한 번 오르면 다시 내려올지 의문이다. 오른 금액이라도 아직은 경제성이 있지만 이렇게 전기차 충전요금이 올라서 단가가 500원을 넘긴다면 전기차 보급에 급제동이 걸릴 것으로 생각된다. 충전도 불편한데 충전 요금까지 비싸다면 사람들은 내연기관차를 선택할 듯 하다. 정말 단독주택에 비공용충전기(집밥)가 최고임을 다시 느낀다. 에버온..

전기차 충전 비공용 충전기(집밥) 요금 인상

전기차 충전 비공용 충전기(집밥) 요금 인상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기차 충전 요금 인상도 불가피하다. 한국전력에서는 유연탄, LNG, BC유의 무역통계가격에 따라 3개월에 한번씩 연료비조정단가를 산정한다. 복잡해서 파악하기가 어려운데 2023년 1분기 연료비 조정단가는 5원/kWh로 산정되었다. 그러니 모든 분야의 전기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 전기차 충전 요금도 인상이 불가피하다. 공용충전기와 비공용충전기도 업체별로 인상 또는 인상이 예정되어 있고, 흔히 집밥으로 불리는 비공용충전기도 2023년 1월 1일자로 벌써 인상되었다. 비공용충전기(집밥)는 인상폭이 그렇게 크지는 않다. 전 구간에서 대략 10원정도 인상되었다. 비공용충전기는 급한 일이 아니면 경부하시간에 무조건 충전할 수 있으니 경부하 시간 요금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