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남저수지 13

주남저수지 두루미 4종,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흑두루미(Hooded Crane), 캐나다두루미(Sandhill Crane), 검은목두루미(Common Crane)

주남저수지 두루미 4종,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흑두루미(Hooded Crane), 캐나다두루미(Sandhill Crane), 검은목두루미(Common Crane) 주남저수지로 갔다. 주남저수지에서 사람 발길이 뜸하고 정말 좋은 경치는 동판저수지인 것 같다. 동판저수지는 물닭과 넓적부리가 항상 많다. 주남저수지 탐방로는 들어가지 못하고, 주남저수지 주변 논을 둘러봤다. 먼저 논에 물을 부어 인공으로 조성한 습지. 제법 가까이 큰고니가 있었다. 재두루미 보러 가는데 큰기러기 한마리가 무리와 떨어져서 저렇게 앉아서 꼼짝을 하지 않았다. 차가 다가가면 이정도 거리면 경계하고, 움직이고, 날아가는데 저 자세로 전혀 움직이질 않았다. 다리를 다친걸까? 큰기러기와 큰부리큰기러기로 나누는 것 같..

자연생태/새 2021.02.17

주남저수지에서 만난 개리(Swan Goose), 캐나다두루미(Sandhill Crane)

주남저수지에서 만난 개리(Swan Goose), 캐나다두루미(Sandhill Crane) 학교 출근했다가 주남저수지 갔는데 우연히 개리(Swan Goose)와 캐나다두루미(Sandhill Crane)를 만났다. 카메라도 집에 두고 와서 학교카메라를 들고와서 찍었다. 캐논 저가 slr이었는데 300미리로 찍어서 크롭을 했는데도 그냥 볼 만한 걸 보니 slr은 slr인가 보다. 개리와 캐나다두루미 둘 다 우리나라에서 집단으로 월동하는 종은 아니라 생각했는데 책을 보니, 나그네새로 한강-임진강 하구에서 1000여 개체가 관찰된다고 한다. 개리는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몽골, 중국 헤이룽장성 자룽습지보호구, 사할린 북부 등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양쯔강 유역,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자연생태/새 2021.02.15

주남저수지 탐조 일기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잿빛개구리매(Nothern Harrier), 큰기러기(Bean Goose),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등

주남저수지 탐조 일기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잿빛개구리매(Nothern Harrier), 큰기러기(Bean Goose),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등 주남저수지에 새 보러 갔다. 올해는 재두루미가 얼마나 왔을까? 궁금하기도 해서 왔다. 창원시 대산면에서 중학교까지 지낸 터라 이 곳 지리는 어느정도 알고 있다. 주남저수지에 낚시도 하러 오고 했다. 고향이라 이동네에 오면 어떻게 되었나 하고 궁금한 면은 있지만 사람에 대한 그리움은 거의 없다. 주남저수지에는 동판저수지, 주남저수지, 산남저수지 3개의 저수지가 있고, 그 중에 가장 큰 주남저수지로 통칭하여 부른다. 우포늪과 비슷하다. 몇 해전부터 주남저수지에 재두루미가 찾아오더니 작년에는 내 눈으로 직..

자연생태/새 2021.01.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