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299

황조롱이(매과)

스코프에 카메라를 연결해서 처음 찍어본 사진이다. 이거 참 실용성이 있을까? 의문스럽다. 요즘 똑딱이로 100배줌인가 그런 사진기 나오던데 그것도 탐이난다. 이걸로 찍어보다가 100배줌 카메라 사는게 나을 것 같다. 낙개깃은 검은색이며, 눈테와 발은 노란색이다. 정지비행을 하는 대표적인 맹금류이다.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수컷은 머리와 꼬리는 푸른빛은 띤 회색이며, 암컷은 머리와 꼬리가 등과 같은 적갈색이다. 먹이가 되는 작은 새는 나는 것보다 앉았다 날아오르는 것을 잡으며, 삼킨 먹이 중 소화가 되지 않은 것만 펠릿으로 토해난다. 4월 하순에서 7월 초순에 걸쳐 4~6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기간 27~29일이며 27~30일이 지나면 독립시킨다. 설치류(들쥐), 두더지, 작은 새..

자연생태/새 2015.10.06

꽃매미(꽃매미과)

몸 길이 14mm 안팎, 날개 길이 45mm안팎. 몸은 짙은 풀색과 흑갈색이 어우러져 있으나 날개는 붉은색을 띠어 매우 아름답다. 나무껍질 색과 닮아서 나무에 앉으면 분간하기 어렵다. 낮은 산의 능선이나 계곡에서 산다. 산초나무 따위의 나무 줄기에 앉아 즙을 빨아먹으며, 다가서면 곧 날아간다. 8~10월에 출현한다. 연 1회 발생하며 알로 겨울을 보낸다. 월동한 알은 5월 상중순에 부화하여 어린 약충이 되며 약충은 4회 허물을 벗은후 7월 중순부터 성충이 되어 11월까지 활동한다. 포도, 배, 복숭아, 사과, 매실 등 과수원의 병해충이라고 한다. 책에는 산초나무를 좋아한다고 되어 있는데 지금 붙어있는 나무는 가죽나무이다. 가죽나무를 그렇게 좋아한다고 진영여중에 김희곤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꽃매미 애벌레 ..

자연생태/곤충 2015.09.16

검은물잠자리 암컷

검은 물잠자리 암컷. 5월 하순부터 9월까지 전국에 걸쳐 수생물이 풍부한 주면의 하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물잠자리는 아주 깨끗한 청정계곡에서 서식을 하는 반면, 검은물잠자리는 2급수 정도의 물이 흐르는 하천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수컷은 몸 색상이 물잠자리처럼 청동빛이 나지만 날개의 색이 검고 긴 타원형이어서 구별된다. 암컷의 경우 날개와 온몸이 검은색이고, 날개 끝에 연문이 없다. 유수성 하천의 식물조직 내에 산란하므로 하천 개량으로 주위의 식물이 베어지거나 제거되면 사라진다. 한국의 잠자리 생태도감 진짜 잘만든 도감이다. - 2015년 7월 25일 산청군 신안면 외고리 숲사랑농원에서...

자연생태/곤충 2015.08.18

필드스코프랑 쌍안경 구입하다.

내가 미쳤어~ ㅋㅋ 코와 필드스코프 플루라이트(형석)렌즈 TSN-823M 코와 줌아이프스 TSE-Z7B 코와 카메라 어댑터 TSN-PA2C 입니다. 모두 잔기스 없이 깨끗하고 신동스럽습니다. 특히 렌즈부분도 깨끗합니다. TSN-823M는 경사형 플로라이트(FL) 필드스코프입니다. TSN-820M 시리즈는 코와 필드스코프의 최상급 기종으로 코와의 최첨단 광학 기술과 최고의 매테리얼을 결집시킨 필드스코프입니다. 구경 82mm의 집광력으로 밝은 시야와 샤프한 이미지, 그리고 자연에 가까운 색재현상으로 아침부터 황혼에 이르기까지 놀라운 관찰력으로 위력을 발휘합니다. 조류 관찰자라면 누구라도 한 번은 손에 넣고 싶은 최고급 필드스코프입니다. TSN-820M 시리즈의 Prominar 모델(TSN-823M / 824..

자연생태/기타 2015.08.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