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충전 46

차지비(ChargEV), GS커넥트(G(지)자처) 흡수합병 GS차지비로 새출발하며 자연스럽게 G(지)차저 요금 인상

차지비(ChargEV), GS커넥트(G(지)자처) 흡수합병 GS차지비로 새출발하며 자연스럽게 G(지)차저 요금 인상 차지비(ChargEV)에서 G(지)차처 GS커넥트를 흡수합병하여 GS차지비로 새롭게 이름을 바꾸어 운영한다. 근데 그 과정에서 기존 GS커넥트의 G(지)차저의 요금이 차지비(ChargEV)요금과 동일하게 책정되면서 요금이 상당히 많이 올랐다. 아래를 보면 지난 2023년 7월 17일 자로 GS커넥트의 G(지)차저 요금이 인상되어 227원이었다. 이건 차지비(ChargEV) 요금인데 사람들이 제일 많이 이용하는 완속요금을 보면 269원이다. 기존 GS커넥트의 G(지)차저 요금 227원에서 흡수 합병되며 269원이 된 것이다. 한 번에 18.5% 상승한 것이다. 기존 GS커넥트의 G(지)차저 ..

전기차충전 할인 신용카드별 충전사업자 정리 등(신한카드EV, 삼성 iD EV카드, NU Auto 우리카드, 현대 EV카드, 신한 Everywhere)

전기차충전 할인 신용카드별 충전사업자 정리 등(신한카드EV, 삼성 iD EV카드, NU Auto 우리카드, 현대 EV카드, 신한 Everywhere) 전기차를 구입하게 되면 전기차 충전사업자 회원카드도 발급받아야 하고, 전기차충전 할인해주는 신용카드도 알아보기 마련이다. 전기차 충전 할인 신용카드는 충전요금의 20~70% 까지 있으나 할인한도가 정해져 있어 자신의 생활 패턴에 따라 하나쯤은 발급받아 결제카드로 등록해두면 좋다. 나는 개인적으로 신한카드EV를 초창기에 만들어 아직도 사용중이다. 신한카드EV 삼성 iD EV카드 NU Auto 우리카드 현대 EV카드 신한 EVerywhere 가장 초창기 전기차 충전 할인 신용카드가 신한카드EV 이다. 몇 년뒤 삼성 iD EV카드가 나왔고, 다른 카드들도 출시되..

아이파킹EV(i PARKING EV) 충전요금, 회원인증 방법 등

아이파킹EV(i PARKING EV) 충전요금, 회원인증 방법 등 무인주차 설비에서 많이 봤던 파킹클라우드의 아이파킹에서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한다. 아이파킹EV(i PARKING EV) 라는 브랜드로 주차와 충전 등을 동시에 제공하는 서비스한다고 한다. 파킹클라우드 기업이 원래 SK계열사이다. 아이파킹EV(i PARKING EV)의 특이한 점은 회원인증 방식인데 다른 충전사업자의 두가지 방식인 1. 실물회원카드 태깅으로 하는 방식 2. 앱을 이용하여 QR, NFC 등으로 인증하는 방식 처음에는 1번 실물회원카드로 태깅하는 방식밖에 없었는데 회원카드를 어떻게 들고 다녀? 귀찮지 않아? 앱으로 인증해! 라고 했는데 스마트폰 꺼내서 앱 실행시키고, QR이나 NFC 인증도 제법 귀찮다. 차라리 회원카드를 차에..

SK네트웍스 에스트래픽 에스에스차저(SS Charger) 인수 후 SK 일렉링크로 사명 변경

SK네트웍스 에스트래픽 에스에스차저(SS Charger) 인수 후 SK 일렉링크로 사명 변경 SSCharger 브랜드를 사랑해주신 고객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에스에스차저가 새로운 이름표를 달게 되어 안내드립니다. SK와 SSCharger가 만나 당사는 ‘SK electlink’라는 브랜드로 새롭게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SSCharger는 SK 일렉링크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고객과 연결돼 최적의 전기차 모빌리티 라이프를 제공하고, 전기차와 전기차 충전기의 연결, 기업과 고객의 연결, SK 일렉링크의 전기차 사업을 통한 환경 보호 등 사회적 가치를 연결하고자 합니다. SK 가족으로 새 이름을 달고 네트워크와 기술력을 갖춘 선도 기업으로서 최고의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 편의를 책임지겠습니다. 홈페이지,..

LG유플러스 전기차 충전 볼트업(LGU+ Voltup) 요금제, 충전 방법 등

LG유플러스 전기차 충전 볼트업(LGU+ Voltup) 요금제, 충전 방법 등 이제 충전사업자도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의 이름을 달고 나오고 있다. LG유플러스(LGU+)가 볼트업(Voltup)이라는 이름으로 전기차충전사업을 시작한다. 요금제도 단일요금제 뿐 아니라 구독요금제를 운영하고, 유플러스(U+)멤버십 할인도 제공하고 있다. LG유플러스(LGU+) 볼트업(Voltup) 홈페이지 : https://voltup.co.kr/index.html LG유플러스(LGU+) 볼트업(Voltup) 충전 요금부터 살펴보자. 요금제는 2가지로 보면 된다. 단일요금제와 구독요금제 LG유플러스(LGU+) 볼트업(Voltup) 단일요금제는 회원가 300원. 반드시 앱 다운받아 회원가입해서 사용해야겠다. LG유플러스(LGU+..

SK에너지 전기차 충전 서비스 머핀 EV 앱 회원가입, 회원카드, 충전요금

SK에너지 전기차 충전 서비스 머핀 EV 앱 회원가입, 회원카드, 충전요금 기존 SK에너지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SK EV Charger 는 2022년 11월 18일부로 종료되고, 머핀 EV 로 이름을 바꾸어 충전 서비스를 하고 있다. SK에너지의 머핀 EV 앱을 다운받아 살펴보니 우리동네에는 SK에너지 머핀 EV 에서 운영하고 있는 충전기는 거의 없고, 로밍서비스를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EV infra(이브이인프라)나 일렉배리, 티맵 등과 같이 다른 회사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단가를 올려 수수료로 이득을 보고, 결제를 하나의 카드로 하는 방식. 앞으로 SK에너지가 워낙 대기업이고, 주유소 인프라가 워낙 잘되어 있으니 사업을 어떻게 확장해 나갈지는 모른다. SK에너지의 머핀 EV 앱. 머핀 E..

전기차 충전사업자 한화모티브(HanwahMotiev) 충전 방법, 충전요금 등

전기차 충전사업자 한화모티브(HanwahMotiev) 충전 방법, 충전요금 등 대기업에서도 전기차 충전 사업을 하고 있고, 신세계(신세아이앤씨), 현대(현대엔지니어링, 이핏) 등이 이미 충전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다. 한화에서도 충전 서비스를 하고 있다. 한화는 한화모티브 라는 이름으로 충전 서비스 사업을 한다. 회원카드 발급받아 회원카드로 인증하여 충전하는 시스템이다. 결제는 회원가입하면서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로 결제될 것이다. 가장 고전적인 방법이지만 누구나 쉽게 이해가능하고, 명확한 방법이다. 요즘은 위와 같이 회원카드 방식, 스마트폰 앱에서 큐알, NFC, 충전기 번호 등으로 인증하여 충전하는 방식도 많다. 한화모티브 충전기를 자주 이용하게 된다면 당연히 더 저렴한 회원가입을 하여 이용해야한다. ..

전기차 충전 사업자 신세계아이앤씨 스파로스(Spharos)EV 충전기 사용방법 및 충전요금

전기차 충전 사업자 신세계아이앤씨 스파로스(Spharos)EV 충전기 사용방법 및 충전요금 전기차 충전 사업자 신세계아이앤씨 스파로스(Spharos)EV 는 신세계그룹에서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특이점은 실물회원카드를 발급하지 않고, 앱에서 결제카드 등록하여 QR코드로 인증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미 많은 충전사업자에서 하고 있는 시스템이라 낯설지는 않다. 비회원은 앱에서 결제가 불가능하다. (직접 신용카드 결제 또는 환경부 카드 로밍) 이용방법. 완속충전기의 경우 비회원 신용카드 직접 결제를 지원하지 않으니 회원가입하여 앱으로 결제해야 저렴하게 할 수 있겠다. (얼마인지 모르겠으나) 로밍으로 충전하면 단가가 올라갈 것이다.(로밍지원카드는 환경부) 급속 충전의 경우 비회원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

전기차 충전 사업자 씨어스 충전요금 인상 단가표

전기차 충전 사업자 씨어스 충전요금 단가표 당사는 2023년 3월 1일부터 전기차충전요금을 아래와 같이 인상적용 됨을 공지하여 드립니다.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기차 충전요금은 업체별로 인상되고 있다. 씨어스 라는 전기차 충전 사업자의 충전 요금도 2023년 3월 1일부로 인상되었다. 씨어스 완속충전기 충전 단가 단가 적용시간 단가표(원) 22:00~08:00 196원 08:00~09:00 260원 09:00~12:00 315원 12:00~16:00 260원 16:00~19:00 315원 19:00~22:00 260원 씨어스 충전요금 단가표인데 계시별 요금 적용에서 보통은 계절도 고려를 하는데 씨어스는 계절은 고려하지 않고, 시간만 적용된다. 22:00 시 부터 가장 저렴한 요금이 시작되는 것도 ..

전기차 충전 사업자 펌프킨의 이밥(eBAB) 충전 요금, 충전기 사용방법

전기차 충전 사업자 펌프킨의 이밥(eBAB) 충전 요금, 충전기 사용방법 전기차 충전 사업자 펌프킨의 이밥(eBAB) 이라는 충전 서비스이다. 전기차 충전 사업자가 돈이 되는지, 아니면 정부의 지원 사업이라 투자 비용이 적은지 전기차 충전 사업자가 엄청나게 많이 생겨나고 있다. 충전 사업자 마다 충전 요금은 약간의 차이가 있고, 충전기 사용방법은 거의 비슷하다. 1. 회원가입하여 회원카드를 받는다. 2. 앱이나 웹에서 결제할 카드를 등록한다. 3. 해당 충전기에서 회원 인증하고 충전한다. * 회원 인증 방법은 실물 카드 태깅, 회원번호로 인증, 앱을 통해서 큐알코드 또는 NFC 또는 충전기 번호로 인증 등 다양하다. 펌프킨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이밥(eBAB)의 충전요금은 비회원은 347.20원 이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