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유 2

[김해시 관동동] 다이브채널에서 아이들 수심 4미터에서 프리다이빙 배우기(발리 스노클링 대비)

[김해시 관동동] 다이브채널에서 아이들 수심 4미터에서 프리다이빙 배우기(발리 스노클링 대비) 아이들 여행 가능한 나이가 되면서부터 겨울방학은 동남아시아에서 보내는 것이 우리집 불문율인데2019년 그러니 둘째가 한국나이로 5살, 첫째 7살 때 라오스부터 시작되었다.코로나 기간은 나가지 못하고, 그 외에는 계속 다니고 있는데여정이 아이들 데리고 소화하기 힘든 여정을 다닌 것 같다.동남아시아 바다로 가게 되면 스노클링을 하게 될 것이고, 그러면 수영을 배워놓아야지 하면서(꼭 그 이유는 아니었지만) 수영도 좀 배웠고, 작년에 푸꾸옥에서 아이들과 함께 행복한 스노클링을 꿈꿨지만바닷물에 들어가는 걸 무서워하고, 물이 차갑다 하고, 푸꾸옥에서는 우리만 스노클링을 좀 즐겼다. 이번 다가올 겨울방학에는 발리에 갈꺼라서..

교육/우리집 2024.08.15

김해시 신문동 신문1지구 더샵 신문그리니티 입주자모집공고

더샵 신문그리니 입주자모집공고 김해 장유에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 땅이라는 신문지구와 신문1지구. 신문1지구 첫번째 아파트 더샵 신문그리니티가 청약에 들어간다. 입주자모집공고가 아래와 같이 떴고, 신축 아파트에 대해서는 워낙 고분양가에 익숙해져서 그런지 더샵 신문그리니티 분양가가 괜찮아 보인다. 인구 증가 없이 아파트를 계속 짓는 것은 (물론 1인가구 증가로 가구수는 증가하겠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각 '집=아파트=부동산=자산' 이라는 생각 지자체의 다양한 노림수, 건설사와 지주의 경제적 이득 등 모든 것이 박자가 맞아 쳇바퀴 굴러가듯 아파트는 계속 지어진다. 단독주택형 마을이 자리잡고, '집=주거공간' 이란 개념으로 고쳐가며 사는게 지속가능한지? 이게 맞는지 저게 맞는지? 아무도 모를일이다. 지금 현재..

재테크 2023.07.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