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러기 3

화포천 탐조(떼까마귀, 쇠기러기, 큰기러기, 독수리, 노랑부리저어새)

화포천 탐조(떼까마귀, 쇠기러기, 큰기러기, 독수리, 노랑부리저어새) 이번 겨울은 주말에 계속 일이 있어서 새를 보러 나간 적이 없었는데오늘 정말 잠시 짬을 내어 화포천에 다녀왔다.보통은 화포천 갔다가 주남저수지까지 다녀오는데 오늘은 시간이 되지 않아 주남저수지는 가보지 못했다.화포천 가는 길에 있는 퇴래들에 기러기 숫자가 많았고, 습지에도 기러기 숫자가 예년에 비해 많아 보였다.특이점은 큰고니가 한 마리도 보이지 않았다.하늘에 독수리가 날고 있었고, 떼까마귀 무리도 퇴래들에 많이 내려 앉아 있었다.민물가마우지가 간간이 보이고, 때까치도 보였다.이마의 각도를 봤을 때 떼까마귀(Rook).퇴래들에 앉아 있는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와 큰기러기(Tundra Bean Goo..

자연생태/새 2024.12.08

주남저수지 탐조-잿빛개구리매, 큰기러기, 쇠기러기, 밭종다리, 뿔논병아리, 댕기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민물가마우지,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독수리, 황조롱이

주남저수지 탐조-잿빛개구리매, 큰기러기, 쇠기러기, 밭종다리, 뿔논병아리, 댕기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민물가마우지,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독수리, 황조롱이 오랜만에 시간이 되어서 주남저수지에 다녀왔다. 오늘 낮에 날씨가 따뜻해서 탐조하기는 좋았다. 재두루미 먹이터 지키시는 분께 몇 가지 여쭈어 보니 재두루미 먹이터 주변과 주남저수지 생태학습관 주변의 농지는 창원시에서 많이 매입했고, 농사철에는 임대 주고 있다고 하셨다. 주남저수지 생태학습관 주변에는 하루 80kg 재두루미 먹이터 주변에는 120kg의 먹이를 준다고 하셨다. 돈으로 야생 생물을 먹여 살리고 있다. 두루미과의 새는 종별로 모두 전 세계 개체수 1만 마리 이하만 남아있다. 먹이는 벼와 보리. 현재 사람이 일구어 벼농사..

자연생태/새 2023.12.03

주남저수지 탐조-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개리(Swan Goose), 큰고니(Whooper Swan),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꺅도요(Common Snipe), ..

주남저수지 탐조-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개리(Swan Goose), 큰고니(Whooper Swan),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꺅도요(Common Snipe),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주남저수지에 나가 보았다. 주남저수지 탐방로는 통제되어 올라가 볼 수 없었고, 주변 농경지를 둘러보았다. 농경지에 쉬고 있는 기러기들과 재두루미가 많이 보였다. 인공으로 조성해놓은 무논이 오랜만에 녹았는지 그 주변으로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꺅도요(Common Snipe), 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쇠기..

자연생태/새 2023.01.2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