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탐조 8

주남저수지 탐조-잿빛개구리매, 큰기러기, 쇠기러기, 밭종다리, 뿔논병아리, 댕기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민물가마우지,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독수리, 황조롱이

주남저수지 탐조-잿빛개구리매, 큰기러기, 쇠기러기, 밭종다리, 뿔논병아리, 댕기물떼새,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민물가마우지,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독수리, 황조롱이 오랜만에 시간이 되어서 주남저수지에 다녀왔다. 오늘 낮에 날씨가 따뜻해서 탐조하기는 좋았다. 재두루미 먹이터 지키시는 분께 몇 가지 여쭈어 보니 재두루미 먹이터 주변과 주남저수지 생태학습관 주변의 농지는 창원시에서 많이 매입했고, 농사철에는 임대 주고 있다고 하셨다. 주남저수지 생태학습관 주변에는 하루 80kg 재두루미 먹이터 주변에는 120kg의 먹이를 준다고 하셨다. 돈으로 야생 생물을 먹여 살리고 있다. 두루미과의 새는 종별로 모두 전 세계 개체수 1만 마리 이하만 남아있다. 먹이는 벼와 보리. 현재 사람이 일구어 벼농사..

자연생태/새 2023.12.03

명지갯벌 탐조 - 붉은부리갈매기, 중대백로, 뿔논병아리, 제비, 노랑발도요, 민물도요, 검은머리물떼새, 청다리도요

명지갯벌 탐조 - 붉은부리갈매기, 중대백로, 뿔논병아리, 제비, 노랑발도요, 민물도요, 검은머리물떼새, 청다리도요 새벽에 눈이 뜨여서 물때 확인하고, 카메라 쌍안경, 스코프 챙겨서 명지갯벌로 와 보았다. 사람은 망각의 동물. 명지갯벌은 동쪽을 보고 있어 오전에는 해가 뜨고 있어 사진 찍기가 어렵다. 그리고 간조 2시간 전부터 물이 빠져 새들이 들어온다. 그러니 오후에, 그리고 간조 2시간 전 시간을 맞추어 오는 것이 좋겠다. 모든 사진은 소니 RX10m4로 촬영했다. 명지 남명초등학교 맞은편에 5~6대 정도 주차할 곳이 있다. 갈매기과 붉은부리갈매기(Black-headed Gull). 유라시아대륙 북부, 영국,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유라시아대륙과 아프리카의 적도 보근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자연생태/새 2023.05.14

우포늪 탐조-발구지(Garganey), 청다리도요(Common Greenshank), 알락도요(Wood Sandpiper)

우포늪 탐조-발구지(Garganey), 청다리도요(Common Greenshank), 알락도요(Wood Sandpiper) 등 4월 30일 새벽에 우포늪에 새를 보러 갔다. 쇠오리가 제법 많았다. 곧 떠나겠지. 대대제방에서 노랑부리저어새도 있었고, 발구지도 보았다. 주매제방에서 장다리물떼새도 있었다. 사진은 모두 소니 RX10m4로 촬영. 이 날 스와로브스키 CL 포켓을 두고 와서 교육원에서 코와 BD 10*25를 빌려 나왔는데 해상도가 떨어지고, 색수차도 좀 있었지만 시야각도 넓고 생각보다 아주 좋았다. CL포켓은 8배율인데 10배율로 보니 내 손이 참 많이 떨린다 생각했다. 오리과 발구지(Garganey). 앞에 세마리 말고 뒤에 한 마리 있는 애가 발구지(Garganey). 제일 왼쪽은 청둥오리 암..

자연생태/새 2023.04.30

주남저수지 탐조-큰고니, 쇠기러기,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큰기러기, 큰부리큰기러기, 말똥가리, 딱새

주남저수지 탐조-큰고니, 쇠기러기,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큰기러기, 큰부리큰기러기, 말똥가리, 딱새 주남저수지 탐조. 모든 사진은 소니 RX10M4로 촬영. 재두루미 개체수가 예년과 비교해 훨씬 많다. 흑두루미가 일부 섞여 있는데 흑두루미 개체수도 작년보다 3배 정도는 늘어난 것 같다. 검은목두루미가 있었고, 캐나다두루미는 보이지 않았다.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사람과 자연의 공존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인지 모른다. 큰고니(Whooper Swan)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흑두루미(Hooded Crane), 검은목두루미(Common Crane) 재두루미(White-naped Crane)가 거의 대부분이고, 흑두루..

자연생태/새 2023.02.18

주남저수지 탐조-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개리(Swan Goose), 큰고니(Whooper Swan),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꺅도요(Common Snipe), ..

주남저수지 탐조-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쇠기러기(Greater White-fronted Goose),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개리(Swan Goose), 큰고니(Whooper Swan),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꺅도요(Common Snipe),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주남저수지에 나가 보았다. 주남저수지 탐방로는 통제되어 올라가 볼 수 없었고, 주변 농경지를 둘러보았다. 농경지에 쉬고 있는 기러기들과 재두루미가 많이 보였다. 인공으로 조성해놓은 무논이 오랜만에 녹았는지 그 주변으로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꺅도요(Common Snipe), 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쇠기..

자연생태/새 2023.01.29

주남저수지 탐조-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큰고니(Whooper Swan), 댕기물떼새(Northern Lapwing), 종다리(Eurasian Skylark),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황조롱이(Common Kest..

주남저수지 탐조-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큰고니(Whooper Swan), 댕기물떼새(Northern Lapwing), 종다리(Eurasian Skylark),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황조롱이(Common Kestrel) 주남저수지에 가보았다. 주남저수지는 습지가 3군데로 나누어져 있다.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 그 중에 주남저수지가 가장 크고, 탐방로가 잘 조성되어 있고, 생태학습관과 주차도 하기 좋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다. 동판저수지 모습. 오리과 큰부리큰기러기(Taiga Bean Goose). 주로 습지에서 줄, 갈대, 마름 등 수생식물의 뿌리와 줄기, 종자를 긴 머리와 긴 부리를 이용..

자연생태/새 2022.11.26

[백로과] 진해 신이천 검은댕기해오라기(Striated Heron)

[백로과] 진해 신이천 검은댕기해오라기(Striated Heron) 진해 이동 진해루 근처에 새 보러 갔다가 허탕쳤다. 바다에 가면 항상 물때를 보고 가야하는데 또 깜빡했다. 물이 거의 만조여서 기대했던 새들은 없어서 한바퀴 둘러보고 돌아왔다. 검은댕기해오라기는 국내에서는 하천, 산간계류에서 서식하는 흔한 여름철새. 4월 중순에 도래하여 9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산림 주변의 물이 흐르는 개울, 하천의 보에서 움직임없이 장시간 서 있다가 소형 어류, 미꾸라지 등을 뾰족한 부리로 잡아낸다. 둥지는 10m 내외 높이의 나무 위에 마른 나뭇가지로 허술하게 접시 모양으로 짓는다. 한배에 청록색 알을 4~5개 낳으며 21~25일간 포란한다. 다른 백로처럼 무리를 이루지 않고 단독으로 번식하고, 단독으로 먹이를 찾는..

자연생태/새 2022.08.19

해반천 탐조 굴뚝새(Eurasian Wren), 딱새(Daurian Redstart), 흰뺨검둥오리(Eastern Spot-billed Duck)

해반천 탐조 굴뚝새(Eurasian Wren), 딱새(Daurian Redstart), 흰뺨검둥오리(Eastern Spot-billed Duck) 해반천에 잠깐 나갔다 왔다. 삼계서희스타힐스 쪽까지 산책로가 정비되어 그 곳까지 가 보았다. 그 지점에서 굴뚝새를 만났다. 땅바닥 흙색과 비슷해 조금만 거리가 있어도 찾기 어렵다. 너무 자주 보아 사진에 담지 않는 딱새도 찍어보고, 흰뺨검둥오리 밥 먹는 것도 동영상으로 담아보았다. 사진과 동영상은 모두 소니 rx10m4 로 촬영했다. 탐조 카메라로는 괜찮은 것 같다. 굴뚝새(Eurasian Wren). 흔한 텃새. 울창하고 습한 숲, 바위가 있는 계류, 평지에서 서식하며 땅 위로 낮게 움직이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단독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꼬리..

자연생태/새 2022.02.19
반응형